<머리말>
  오늘날 세계화와 정보·통신 및 수송 체계의 빠른 발전, 급격한 기후 변화 등의 영향으로 테러, 환경오염, 전(감)염병, 미세먼지와 같은 초국가적 재난(trans-national disease)의 확산과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매우 높아지고 있다. 더욱이 이러한 재난은 사전 예측이 곤란할 뿐만 아니라 선제적 대응도 쉽지 않기 때문에 피해 또한 기하급수적일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지금까지 해오던 단순한 재난관리 패러다임은 한계에 봉착했다고 볼 수 있다. 변화된 재난환경에 부합된 통합적 재난관리 체제 구축과 운영을 위하여 다학제적(multi-disciplinary)인 학문이 연계·통합된 연구와 교육의 필요성이 제기되고 있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재난관리 관련 분야별 교육과 학문의 수준은 매우 높다고 볼 수 있지만, 재난관리의 큰 그림(big picture)을 그리기에는 여전히 미흡하다는 것이 대부분 전문가의 견해이다.
  현재 국내에서 출간된 재난관리 관련 서적은 대략 10여 가지 정도이며, 책의 구성과 내용은 저자의 전공에 따라 각양각색이다. 저자별로 개념과 구성 체계가 상이하여 자칫 독자들이 편향적 단편 지식을 습득할 수밖에 없고, 기존 연구에 대하여 다시 연구를 하여야 하는 부작용도 만만치 않다. 이처럼 분절·파편화된 교재로 활용한 학교 강의와 연구는 분야별 전문가(specialist) 양성은 몰라도 총체적 전문가(generalist) 육성은 나무에서 고기를 구하는 것(緣木求魚)과 다름없다고 본다. 또한 현실과 거리가 있는 재난관리 교재와 교육 현장의 부조리를 고르디우스 매듭(Gordian knot)같이 해소하기도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연구자로서 막연한 책임감과 부담을 이기지 못하고 무모한 도전을 하게 되었다.
  오직 우리 편저자들은 그간 재난관리에 대한 강의와 연구를 하면서 연구자, 학생, 재난 현장 실무자에게 꼭 필요한 재난관리론을 엮어내 보자는 학문적 열정만으로 의기투합하였다. 이 책이 재난관리를 공부하는 대학(원)생, 연구자뿐만 아니라 행정기관 및 기업체의 실무자에게 조금이나마 보탬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 간절하다.
  이 책은 총 12장으로 구성되었으며, 재난관리 기초이론, 조직 체계, 외국 사례, 교육훈련, 민관 협력, 재난 사후처리 등을 담았다. 이런 맥락에서 각 장별 편성 내용은 다음과 같다.
제1장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제2장 재난관리 법령, 제3장 재난관리 단계별 활동, 제4장 외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5장 재난 현장 리더십, 제6장 재난관리와 민관 협력, 제7장 재난대비 훈련, 제8장 재난정보통신시스템, 제9장 국가핵심기반 체계 보호와 정부 기능 영속성, 제10장 재난관리 커뮤니케이션, 제11장 재난안전산업의 현재와 미래, 제12장 위험사회와 재난관리 발전 방향으로 이루어져 있다.
  우리 편저자들은 각자의 전공 분야에 대하여 사명감과 열정을 쏟아 집필하였으나 여전히 부족하고 아쉬움도 적지 않았음을 고백한다. 이 책이 앞으로 수준 높은 재난관리론이라는 옥동자의 마중물이자 밀알의 역할을 할 수 있기를 기대하면서 많은 독자의 질정(叱正)과 학문적 발전에 분투(奮鬪)를 기대한다. 그리고 부족한 부분은 추후 적절한 시기에 개정할 것을 약속드린다.
  이 책이 나오기까지 많은 분의 수고와 열정이 있었다. 편집위원장을 맡아 열과 성을 아끼지 않은 오재호 교수님, 편집실무위원장 류상일 교수님, 기획위원장 이주호 교수님께 감사드린다. 또한 세심하게 교정을 보아준 도서출판 윤성사의 편집팀과 이 책이 세상에 나올 수 있게 해준 정재훈 사장님께도 감사를 드린다.
2020년 8월
엮은이를 대신하여
제10대 국가위기관리학회 회장 정 찬 권

<차례>
제1장 재난 및 재난관리의 개념
제1절 재난의 개념 이해
제2절 재난의 특성
제3절 재난관리의 의의 및 단계
제4절 재난관리의 방식

제2장 재난관리 법령
제1절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2절 자연재난 관련 법령
제3절 사회재난 관련 법령

제3장 재난관리 단계별 활동
제1절 재난관리 단계 주요 모형
제2절 재난관리 단계별 주요 내용

제4장 외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1절 미국의 재난관리 체계
제2절 일본의 재난관리 체계

제5장 재난 현장 리더십
제1절 리더십의 의의
제2절 재난 현장 리더십
제3절 재난 현장 리더십에 대한 연구
제4절 효과적인 재난관리 리더십

제6장 재난관리와 민관 협력
제1절 민간 부문 협력 체계
제2절 민관 협력 체계

제7장 재난대비훈련
제1절 재난대비훈련 이론
제2절 재난대비훈련의 실제
제3절 훈련행정

제8장 재난정보통신 시스템
제1절 재난안전 정보통신 개요
제2절 재난관리 성격별 정보통신
제3절 우리나라 시스템 및 통신재난
제4절 국제 협력 및 국제표준화

제9장 국가핵심기반 체계 보호와 정부 기능 연속성
제1절 국가핵심기반 체계 보호의 의의와 현황
제2절 정부의 기능연속성 계획

제10장 재난관리 커뮤니케이션
제1절 재난 및 재난관리 커뮤니케이션
제2절 재난관리 커뮤니케이션의 전략과 방향
제3절 재난관리 커뮤니케이션과 언론 관계
제4절 재난관리와 SNS

제11장 재난안전산업의 현재와 미래
제1절 재난안전산업의 현황
제2절 재난안전산업의 미래

제12장 위험사회와 재난관리 발전 방향
제1절 위험사회의 이해
제2절 재난관리 주요 제도와 발전 방향

<저자 소개>
정찬권(鄭燦權)
숭실대학교 대학원 정치학 박사
현 한국위기관리연구소 소장
전 숭실대학교 정외과 겸임교수
전 국가위기관리학회장
「국가위기관리론」(대왕사, 2010)
「국가위기관리훈련: 이론과 실제」(성진문화사, 2009)
지방자치단체 위기관리체계 발전방안 연구(「한국치안행정논집」 , 2012)
국가위기관리체계 발전방안연구: 법·제도를 중심으로(「한국위기관리논집」 제9권제7호, 2013)

권건주(權建周)
강원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삼척시청 근무
현 강원도인재개발원 재난안전분야 내부강사
전 강원대학교 방재전문대학원 겸임교수
「재난관리론」(공저, 대영문화사, 2006)
「한국의 재난현장 대응체계: 문제점과 향후과제」(공저, 대영문화사, 2009)
한국 지방정부 재난관리행정체제의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박사학위논문, 2003)
지역자율방재단 활성화 방안 연구(「한국위기관리논집」, 2013)

김용균(金勇均)
연세대학교 기술정책학 박사
현 행정안전부 근무
전 행정안전부 재난대응정책과장
전 국민안전처 재난관리총괄과장
「한국 재난의 특성과 재난관리」, (㈜ 푸른길)
Disaster Risk Management in the Republic of Korea, (Springer, 2018)

김정아(金貞雅)
국립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석사
현 국립한밭대학교 디자인미래비전센터 방재디자인연구소 연구원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연구원, (사)한국콘텐츠학회 정회원

노황우(盧黃愚)
현 국립한밭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국립한밭대학교 디자인미래비전센터 방재디자인연구소 소장
(사)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
(사)한국콘텐츠학회 부회장
방재디자인기반 몽골 게르지역 화장실 개선 연구(2017)

라정일 (羅貞一)
교토대학교 공학 박사
현 전국재해구호협회 재난안전연구소 부소장
전 충북대 국가위기관리연구소 소방방재센터장
전 일본 돗토리국립대 사회기반공학전공 교수
Participatory Approach to Gap Analysis between Policy and Practice Regarding Air Pollution in Ger Areas of Ulaanbaatar, Mongolia(2019)

류상일(柳賞溢)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동의대학교 소방방재행정학과 교수
세한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역임
「안전 및 재난관리의 주요이론」(윤성사, 2019)
「소방학개론(제2판)」(윤성사, 2020)
네트워크 관점에서 지방정부 재난대응 과정 분석 (2007, 「한국행정학보」)

박덕근(朴德根)
미국 코넬대학교 토목환경공학 박사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1998~현재)
세계은행(IBRD) 재난위험도 관리 선임전문관 (2012~2014)
「연약지반의 침하와 지반동역학적 특성 파악: 호우 및 산불로 인한 사면 붕괴 조사와 내진대책을 중심으로」(공저, 「NIPD연구보고서」, 국립방재연구소, 2000)
Evaluation of Dynamic Soil Properties: Strain Amplitude Effects on Shear Modulus and Damping Ratio(1998)

백진숙(白珍淑)
경희대학교 언론학 박사
현 혜전대학교 창의교양학부 겸임교수, 청운대/한서대 외래교수
현 (사)한국사회복지정책연구회 수석연구위원 겸 사무국장
「NCS 기반 의사소통과 대화」(도서출판 영민, 2017)
「창의적 글쓰기」(도서출판 영민, 2019)
「NCS 기반 진로 탐색 및 취업과 창업」(개정판) (도서출판 영민, 2019)
「스토리텔링과 생활」(한서대학교출판부, 2020)

성기환(成基環)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서일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
현 행정안전부 중앙안전관리민관협력위원회 위원
현 한국방재학회 보건복지방재위원회 위원장
「재난관리와 파트너쉽」 (한국학술정보주식회사, 2006)
「재난구호개론」(국립방재교육연구원, 2009)
「재난관리 자원봉사자의 임파워먼트」(공저, 대영문화사, 2009)

오재호(吳載鎬)
미국 오리건 주립대학교 이학 박사
현 부경대학교 환경대기과학과 명예교수
전 기후변화 행동연구소 이사장
전 국가위기관리학회 회장
전 한국기상학회장 등을
2013년 국가과학기술훈장 수상
『더워지는 지구 얼어붙는 지구』, (아르케, 2001)
O h, JH., Woo, S., & Yang, SI., 2017: Ship Accessibility Predictions for the Arctic Ocean Based on IPCC CO2 Emission Scenarios. Asia-Pac. J. Atmos. Sci., 53: 43. doi:10.1007/s13143-017-0003-x

양기근(梁奇根)
경희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원광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소방학개론」(동화기술, 2012)
「소방행정학개론」(제3판)(공저, 대영문화사, 2016)
「재난관리론」(개정판)(공저, 대영문화사, 2016)

이범준(李範俊)
한국방송통신대 학사
현 행정안전부 상황담당관
전 행정안전부 재난관리정책과, 국민안전처 안전기획과
지역안전지수 등급과 시군구 특징분석(「대한국토계획학회지」, 2016)

이주호(李朱祜)
충북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세한대학교 소방행정학과 교수
국무조정실 일자리/국정과제 평가위원(2019)
(사) 이재민사랑본 상임이사
도시공간 특성과 대형화재 발생의 인과지도 분석(Crisisonomy, 2019)

임상규(林庠圭)
연세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연구관(2015.11. ~ 현재)
전 노스캐롤라이나 재난관리실 초청연구위원(2018. 9.~2018.10.)
전 한국행정연구원 초청연구위원(2012.2.~2012.12.)
미 노스캐롤라이나 주의 허리케인 플로렌스 대응이 주는 시사점(한국방재학회논문집, 2019)
비교론적 고찰을 통한 재난관리평가제도의 발전방안(한국비교정부학보, 2018)
소방공무원의 조직학습이 직무만족에 미치는 영향(Crisisonomy, 2016)

임수정(任修正)
인하대학교 산업공학 박사
현 국립재난안전연구원 책임연구원(2016~현재)
근골격계 질환 증상의 정량적 작업도에 대한 실증적 연구(박사학위논문, 2015)

정용진(鄭鏞晋)
현 청운대학교 융합경영학부 ICT 디자인전공 교수
행정안전부 정부3.0 국민디자인단 서비스디자이너
서울특별시 서울디자인클리닉 디자인닥터/공공디자이너
(사 )국가위기관리학회 감사, (사)한국콘텐츠학회 디자인전시기획 부위원장

조민상(趙敏相)
순천향대학교 경찰학 박사
현 백석대학교 경찰학부 교수
국무조정실 정부업무평가 전문위원(2019)
세종특별자치시 안전도시위원회 자문위원(2017)
지역안전 개선을 위한 드론 산업 거점 활성화 방안(「한국민간경비학회보」, 2020)

조성제(趙成濟)
경북대학교 법학 박사
현 대구한의대학교 경찰행정학과 교수
한국치안행정학회 회장, 국가위기관리학회 부회장
수사절차에 있어서 적법절차 원리의 구체화(박사학위논문, 2008)

채진(蔡 鎭)
서울시립대학교 행정학 박사
현 목원대학교 소방안전관리학과 교수
전 중앙소방학교 전임교수
「안전관리론」(동화기술, 2016)
「재난관리론」(동화기술, 2017)
「소방조직론」(윤성사, 2019)
다조직의 재난관리 협력체계 분석(「한국행정학보」, 201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