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머리말>

  2000년대 들어 정부와 민간 부문 모두에서 우리나라의 사회복지에 대한 관심이 크게 높아졌으며, 이러한 높아진 관심을 반영해 사회복지 관련 정책과 제도및 조직이 정비되고 있다. 그러나 오늘날 정부 내·외의 사회복지조직이 처해 있는 사회환경에 상당한 변화가 나타나고 있어 사회복지조직들이 이러한 변화에 대처해야 할 필요성이 증대됐다. 특히 사회복지 대상 클라이언트와 욕구가 확대되고 다양화되고 있으며, 복지다원주의로의 패러다임 변화에 따라 다양한 민간조직들이 사회복지 공급자의 역할을 담당하게 됐고, 지역사회 중심의 사회복지전달이 활성화되는 변화 양상 등은 사회복지 조직관리와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선 필요성을 높이고 있다.

  이러한 배경에서 최근 들어 사회복지행정에 대한 실천적·학술적 관심이 제고됐으며, 이 책은 이러한 관심과 요구에 대응하려는 노력의 일환으로 저술했다. 사회복지 영역에서 활동하는 정부 및 민간 부문 내 여러 조직의 존립 이유는 양질의 서비스를 적정한 비용으로 이용자들에게 전달하기 위함이며, 이를 위해서는 조직 내적관리는 물론 정부와 민간조직들 간의 관계를 어떻게 구축할 것인가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 사회복지행정을 다루는 이 책은 이러한 필요에 대응하고자 했다.

  사회복지행정은 미시적 및 거시적 관점으로 구분해서 파악할 수 있다. 미시적 관점은 사회복지와 관련된 기관 자체의 내적 관리에 초점을 둔 기관행정으로 사회복지행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거시적 관점은 정부 정책의 집행, 즉 복지서비스의 전달과정에서 이뤄지는 전달체계 조직화에 초점을 두고 사회복지행정을 파악하는 것이다. 이 책은 두 접근의 주요 요소들을 모두 논의의 대상으로 하며,이는 이하에서 취급하는 주제들에 반영했다. 즉, 거시적인 접근과 관련된 주제들은 사회복지행정의 역사(2장),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문화(6장),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설계(3장) 등에서 다뤘으며, 미시적인 접근에 해당하는 주제들은 사회복지 조직이론(4장), 사회복지 조직구조 형태와 유형(5장), 리더십과 동기부여(7장), 사회복지조직의 인사관리(8장),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9장), 사회복지조직의 기획과 의사결정(10장),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11장), 그리고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설계와 평가(12장, 13장)에서 다뤘다. 이러한 특성을 지닌 이 책은 사회복지학과 학생들뿐 아니라 사회복지조직의 관리와 전달체계에 관심을 가진 행정학과 학생들을 위한 교재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 책은 행정학 전공 학자와 사회복지 분야 실천가의 협업으로 이뤄졌다. 명지대학교 대학원 박사과정의 사회복지학학과간협동과정에서 박사학위를 취득한실천 분야 전문가들이 학위과정 중에 행정학과 수업을 들으며 인연을 맺은 행정학자들과 협력해서 저술 작업에 참여했다. 이러한 협업을 통해 행정학과 사회복지학, 그리고 이론과 실천의 접목을 시도했다는 점에서 이 책의 장점과 새로운 점을 발견할 수 있다.

  이 책은 윤성사 정재훈 대표의 제안과 독려가 없었다면 빛을 보지 못했을 것이다. 처음 제안한 시점부터 책이 출간되기까지 상당한 시일이 소요됐음에도 불구하고, 참고 기다려 주신 정재훈 대표님께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또한 여러 가지 번거로운 작업을 마다하지 않고 출간에 애써 준 윤성사 직원 여러분께도 감사의 말씀을 전한다. 그리고 본문 중 다수의 그림과 표의 작성에 도움을 준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김지수 학생에게 고마움을 표한다.

2022년 11월

저자 일동

 

<차례>

제1장 사회복지행정의 개념과 특성

1. 사회복지행정의 개념

  1) 사회복지 

  2) 행정과 사회복지행정 

2. 체계론적 접근과 사회복지행정

3. 사회복지행정의 필요성

4. 사회복지조직 내적 관리의 주요 내용: POSDCoRBE

  1) 기획 

  2) 조직화 

  3) 인사 

  4) 지시 

  5) 조정 

  6) 보고 

  7) 예산 

  8) 평가 

5. 사회복지조직 외적 환경 변화의 특성

  1) 상호부조 정신의 복원 요구 

  2) 지방자치의 발전 

  3) 사회복지 패러다임의 변화: 복지다원주의의 대두 

 

제2장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1. 영국 사회복지행정의 전개

  1) 1800년대: 자유주의 이념의 부침 

  2) 1900년대 전반기 및 제2차 세계대전 이후의 복지국가 발전 

  3) 1980년대 이후: 복지국가의 재편 

2. 한국 사회복지행정의 전개

  1) 제1∼5공화국(1948∼1987년): 생산주의 체제기 

  2) 제6공화국 전기(1988∼1997년): 점진적 사회복지 성장기 

  3) 제6공화국 후기(1998년∼현재): 복지국가 발전기 

 

제3장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설계

1.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개념

2. 사회복지 전달체계 설계의 기본 원칙

3. 사회복지 전달체계의 구체화 방안

  1) 통합성과 연속성 

  2) 책임성 

  3) 접근성 

  4) 효율성 

4. 한국의 사회복지 전달체계

 

제4장 사회복지 조직이론

1. 과학적 관리론

2. 행정관리론

3. 관료제론

4. 인간관계론

  1) 메이요의 호손 연구 

  2) 머슬로의 욕구계층이론 

  3) 맥그리거의 X·Y이론 

5. 체제이론

6. 제도이론

7. 현대 조직이론

  1) 목표관리이론 

  2) 총체적 품질관리이론 

  3) 학습조직이론 

 

제5장 사회복지 조직구조의 형태와 유형

1. 조직구조의 정의

  1) 중앙집권화와 분권화 

  2) 분화(전문화)와 통합 

2. 워커와 로쉬의 조직 구성 기준

3. 민츠버그의 다섯 가지 유형의 조직구조

  1) 조직의 다섯 가지 구성 요소 

  2) 조직구조의 다섯 가지 형태 

4. 팀 조직

  1) 정의 

  2) 특징 

  3) 유형 

5. 매트릭스 조직

6. 조직의 유형 구분

  1) 복종 관계(Etzioni) 

  2) 수익자(Blau & Scott) 

  3) 업무통제성(Smith) 

 

제6장 사회복지조직의 환경과 문화

1. 환경의 개념

  1) 일반적 환경과 구체적 환경 

  2) 실제 환경과 인지된 환경 

2. 번스와 스토커의 기계적 형태의 조직과 유기적 형태의 조직

3. 에머리와 트리스트의 소용돌이의 장

4. 로렌스와 로쉬의 환경의 복잡성과 조직구조의 복잡성

5. 주요 조직환경이론

  1) 구조상황이론 

  2) 자원의존이론 

  3) 제도이론 

  4) 기타 이론 

6. 조직문화

  1) 개념 

  2) 조직문화의 유형: 경쟁가치모형 

 

제7장 리더십과 동기부여

1. 리더십

  1) 정의 

  2) 리더십 이론의 발전 

  3) 거래적 리더십 

  4) 변혁적 리더십 

  5) 거래적 리더십과 변혁적 리더십의 관계 

  6) 서번트 리더십 

2. 동기부여

  1) 허즈버그의 2요인 이론 

  2) 해크만과 올드햄의 업무특성모델 

  3) 직무 만족 

  4) 조직 몰입 

  5) 직무탈진감 

 

제8장 사회복지조직의 인사관리

1. 인사관리의 개요

2. 선발 과정

  1) 인사계획 

  2) 직무기술서 및 직무분석 

  3) 직무명세서 작성 및 모집공고 

  4) 시험 및 면접 

  5) 오리엔테이션 

3. 교육·개발 과정

  1) 내·외부 교육 

  2) 법적 의무교육/직무(전문화) 교육 

  3) 보수교육 

  4) 수퍼비전 

4. 평가 과정

  1) 역량평가와 성과(업적)평가 

  2) 직무평가 방법 

5. 동기화 과정

  1) 내용이론 

  2) 과정이론 

6. 이직 과정

 

제9장 사회복지조직의 재정관리

1. 재정관리의 개요

  1) 재정관리의 정의 및 개념 

  2) 재정관리의 필요성 

  3) 재정관리 관련 원칙 

2. 예산

  1) 예산 원칙 

  2) 예산의 종류 

  3) 예산 편성 방법 

3. 회계

  1) 회계 업무의 종류 

  2) 사회복지조직 회계의 특징 및 목적 

  3) 재무회계규칙 

4. 결산 및 감사

  1) 결산 

  2) 감사 

5. 재원 확보

  1) 공공재원(보조금) 

  2) 민간재원 

 

제10장 사회복지조직의 기획과 의사결정

1. 기획

  1) 개념 

  2) 개념상의 논쟁 

2. 의사결정

  1) 합리성 

  2) 합리적인 의사결정(정책분석) 방법 

  3) 점증적인 의사결정(정책분석) 방법 

  4) 그 밖의 의사결정(정책결정) 방법 

  5) 결론 

 

제11장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1. 마케팅의 개요

  1) 마케팅의 주요 개념 

  2) 사회복지조직의 마케팅 필요성 

  3) 사회복지조직 마케팅의 특성 

2. 사회복지조직 마케팅의 과정

  1) 내·외부 환경분석 

  2) 시장 욕구·수요 파악 

  3) 마케팅 목표 설정 

  4) 마케팅 기법 선택·실행 

  5) 결과 평가 

3. 사회복지조직 마케팅 기법

  1) PR 

  2) 데이터베이스 마케팅 

  3) 기업 연계 마케팅 

  4) 사회마케팅 

4. 기타 사회복지조직 마케팅의 쟁점들

 

제12장 사회복지 프로그램의 설계

1. 사회복지 프로그램

  1) 프로그램 만들기 

  2) 성과 

  3) 산출 

  4) 활동 

  5) 투입 

2. 프로그램 기획과 설계 과정

  1) 기획이란? 

  2) 창의적인 기획 

  3) 프로그램 설계와 평가 

3. 문제 확인과 욕구 사정

  1) 사회문제 

  2) 사회문제 분석과 욕구 관계 

  3) 욕구 사정을 위한 자료 수집 

  4) 욕구조사 결과 활용 

4. 프로그래밍

  1) 프로그램 설계 시 고려 사항 

  2) 프로그램 자원 

  3) 프로그램 질의 선택 기준과 의사결정 

5. 프로그램 실행 및 관리

 

제13장 사회복지 프로그램 평가

1. 평가의 필요성

  1) 정책적인 계획 수립 

  2) 조사방법론을 활용한 자료 수집 

  3) 성과 판단 

2. 프로그램의 평가 목적

  1) 프로그램의 정당성 

  2) 프로그램의 정책적 의사결정 

  3) 사회복지 전문성 

3. 프로그램 평가의 유형과 방법

  1) 내부평가와 외부평가 

  2) 기관평가와 프로그램평가 

  3) 형성평가와 총괄평가 

4. 프로그램 평가의 과정

  1) 1단계: 프로그램 평가 목적의 결정 

  2) 2단계: 평가 기준(지표) 선정 

  3) 3단계: 평가 설계 

  4) 4단계: 자료 수집 및 분석 

  5) 5단계: 보고서 작성하기 

5. 평가 기준과 자료

  1) 노력 

  2) 효과성 

  3) 효율성 

  4) 영향 

  5) 서비스 질 

  6) 과정 

  7) 공평성 

6. 효율성 평가와 비용

  1) 비용회계분석 

  2) 비용-편익분석 

  3) 비용-성과의 효율성 분석 

7. 평가윤리 및 시설평가의 과제

  1) 윤리적 문제 

  2) 평가를 위한 윤리 기준 

  3) 사회복지시설 평가의 전망과 과제 

 

<저자 소개>

 

주재현(朱宰賢)

1997년 영국 런던정경대학(LSE)에서 정치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정책변동, 사회복지정책, 관료제 통제 등이다. 최근의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집단-격자 문화이론과 정책형성: 국민기초생활보장제도 사례분석”(2019), “장애인 고용문제에 대한 정부개입의 변화과정 분석: 영국 렘플로이 사례를 중심으로”(2020), 「영국 거버넌스 체제 변동 연구」 (2021) 등이 있다(jhjoo61@mju.ac.kr).

 

진종순(陳鍾淳)

2004년 미국 American University에서 행정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인사행정, 조직이론, 공공관리, 부패 등이다. 최근의 주요 논문 및 저서로는 “Role of assessment centers in job satisfaction and  organizational commitment: A case of the Korean government”(2016), “Bureaucratic accountability and disaster response”(2017), 「공공조직론」(2023) 등이 있다(jongsoonj@mju.ac.kr).

 

유종연(柳宗演)

2019년 명지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현재 송추정신병원에서 사회복지과장으로 재직 중이다. 주요 관심 분야는 사회복지행정 및 사회복지경영 등이다. 최근의 주요 논문으로는 “기초정신건강복지센터 종사자의 내· 외재적 동기와 직무만족 간의 인과관계에 관한 연구”(2018), “정신병원 종사자의 감정노동이 소진에 미치는 영향: 회복탄력성의 조절효과 분석”(2019) 등이 있다(starstart@naver.com).

 

조항용(趙恒庸)

2018년 명지대학교에서 사회복지학 박사학위를 취득하고 명지대학교 객원교수로 활동하고 있고, 사회복지 현장에서 아동복지를 실천하고 있다. 주요 관심사는 사회복지 분야 중 아동복지정책과 실천이다. 최근의 주요 연구로는 “지역아동센터 서비스와 취약계층 청소년의 학교 적응에 대한 연구”(2020), “지역아동센터 종사자의 직무스트레스가 직무소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직무만족의 매개효과 분석”(2018) 등이 있다(gkddyd11371@hanmail.net).